34-39강. p. 489 * 충당부채와 우발부채 확정, 충당, 우발부채 p. 502 2, 5, 4 p. 507 3 * 자본 상법, 일반기업 회계기준 p. 509 p. 513 * 유상증자 * 감자 => 자본금의 감소 p. 539 2, 3, 5 p. 518 * 자기주식(T/S: Treasury Stock) p. 532 * 자본변동표 p. 541 6, 8, 9, 10 재무회계 2022.07.30
23-25강. p. 301 p. 314 / 문제 9 p. 305 p. 329 무형자산 p. 333 p. 350 / 문제 4 p. 359 금융자산 -> 유가증권(주식, 채권) 주식 - 지분상품(지분증권) 채권 - 채무상품(채무증권) 1. 유가증권 채무상품: 금전대차관계(채권) -> 원금, 만기, 이자율 지분상품: 지분권, 소유권(주식) -> 원금보장X, 만기X, 배당금 2. 분류 p. 361 재무회계 2022.07.29
19-21강. p. 261 * 재고자산 손실 감모손실 - 정상감모손실 - 비정상감모손실 p. 270 7장. 유형자산 p. 281 1. 특징: 영업활동에 사용 : 물리적 형제가 있어야함 : 한 회계기간을 초과 사용 -> 감가상각 1년 이하는: 소모품 2. 구분(감가상각): O -> 건물, 구축물, 차량운반구 X -> 토지, 건설중인 자산 p. 284 p. 312 p. 288 정부보조금 p. 291 p. 292 * 감가상각 1. 정의: 취득원가 -> 내용연수 -> 합리적, 체계적 방법 -> 원가배분과정 2. 구성요소 1) 취득원가 2) 잔존가치 3) 내용연수 4) 감가상각방법 -> 금액*상각률 1. 정액법 감가상각법 = (취득원가-잔존가치) * 1/내용연수 2. 정률법 = (취득원가-기초감누) * 상각률 3. 이중체감법 .. 재무회계 2022.07.28
16-18강. p. 247 재고자산 수익적 지출: 1회성 자본적 지출: 자산가치 높이거나 오래 쓰려면 재고자산의 원가(단가)결정방법 = 원가흐름의가정 * p. 256 p. 268 / 문제 1, 5, 6 p. 258 감모손실(수량부족손실) 평가손실(단가하락손실) -> 저가법(LCM: Lower of Cost or Market) 1. 재고자산 감모손실 = (장부상 수량 - 실제 수량) * 원가 -> 당기비용 2. 재고자산평가손실 = 실제수량 * (원가 - 순실현가능가치) -> 당기비용 평가이익손실 다 잡아라 -> 공정가치법 평산이익손실 다 잡지마라 -> 원가법 (재고자산)올라가는거는 안되고 내려가는거만 -> 저가법 재무회계 2022.07.28